본문 바로가기
반짝반짝 빛나는

국민의힘, 주 4.5일제 공약 추진 예고

by sjmain 2025. 4. 14.

 

#주4.5일제 #유연근무제 #국민의힘공약 #주52시간제폐지 #정책이슈 #노동개혁 #대선공약 #금요일반차 #워라밸제도 #근무제도유연화

국민의힘이 오는 대선을 앞두고 주 4.5일 근무제를 대선 공약으로 내걸겠다고 밝혔습니다. 권영세 비상대책위원장은 14일 회의에서 울산 중구청의 시범 사례를 언급하며, “월~목요일 9시간 근무, 금요일 4시간 근무” 방식의 유연근무제 도입 방안을 설명했습니다.

 

총 근무시간은 주 40시간으로 동일하되, 시간 배분을 조정함으로써 금요일 오후 시간을 개인에게 돌려주는 제도입니다. 급여는 그대로 유지된다는 점에서 관심이 쏠리고 있습니다.


⏱️ 주 52시간제 폐지도 함께 추진

또한 국민의힘은 현행 주 52시간 근무제의 폐지도 공식화했습니다. 권 위원장은 “반도체 등 첨단 산업에서는 이 제도로 오히려 생산성이 저하되고 있다”며, 업종별 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근로제 필요성을 강조했습니다.

 

획일적인 근로 시간 규제를 유연하게 개편하겠다는 의지로 해석됩니다. 특히 산업 현장의 목소리를 반영하겠다는 점에서 현실적인 접근이란 평가도 있습니다.


🎯 유연하지만 생산성은 전제

국민의힘은 주 4.5일제를 무조건적인 ‘근로시간 단축’이 아닌, 유연성 중심의 재설계로 보고 있습니다. 기존 주 4일제 논의와의 가장 큰 차이는 바로 생산성과 효율성 확보를 전제로 하고 있다는 점입니다. 단순한 포퓰리즘 정책이 아닌, 노사 모두에게 실익이 있는 방안을 찾겠다는 기조입니다.

 

권 위원장은 “유연한 시간 배분을 통해 근로자는 여유를 얻고, 기업은 생산성을 유지할 수 있다면 가장 이상적”이라며 실용주의적 방향을 제시했습니다.


🧭 앞으로의 쟁점은?

더불어민주당이 주장하는 ‘급여 유지형 4일제’에 대해 국민의힘은 “비현실적인 포퓰리즘”이라며 강하게 비판했습니다. “근로시간을 줄이면 급여도 줄어든다”는 논리에 대한 설명이 없다는 것이 이유입니다.

 

반면 국민의힘은 근로시간은 유지하되 시간 배분을 유연하게 한다는 점에서 타협점을 찾고자 합니다. 실험적 시범 도입부터 확산까지 어떤 실행계획이 나올지 주목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