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학여행취소 #현장체험학습 #학교소풍 #교사책임논란 #학생안전 #교사형사책임 #학교밖수업 #교육현실 #학부모의견 #아이들의추억 #교권보호법 #6월법적용 #체험학습대안 #학교안전법 #맘충

🚌 사라지는 봄소풍과 수학여행, 그 이유는?
매년 봄이면 들뜬 아이들의 목소리로 가득 찼던 교실. 그러나 올해는 다릅니다. 대전·경기·충북 등 전국 곳곳의 초등학교에서 1학기 소풍과 수학여행을 줄줄이 취소하고 있습니다. 이유는 교사들이 감당해야 할 ‘형사 책임’의 무게 때문입니다.

⚖️ 금고형 선고, 교사들의 불안 현실화
올해 2월, 한 현장체험학습 중 발생한 학생 안전사고에 대해 담당 담임교사가 금고 6개월 형을 선고받은 사건이 있었습니다. 이 사건 이후, 현장체험학습에 대한 교사들의 거부감은 급격히 높아졌습니다. 서울 초등학교 606곳 중 올해 체험학습을 진행하는 곳은 불과 209곳(34.4%)에 그쳤고, 강원과 광주 등도 비슷한 흐름을 보이고 있습니다.
🧑🏫 "책임은 무겁고, 지원은 부족하다"
교사들은 수십 명의 학생을 단 한 명이 감당하는 구조에 큰 문제를 제기하고 있습니다. 형광 조끼를 입고 교통 지도를 하면서도, 순간의 사고를 모두 막기는 어렵다고 호소합니다. 교육의 일환으로 진행되는 체험학습이 교사에겐 ‘감방 리스크’가 되어버린 현실. 교원단체들도 “교사의 의사 없이 학습을 강제하지 말라”고 요청 중입니다.

👨👩👧👦 학부모의 아쉬움도 커져
반면, 많은 학부모들은 현장체험학습의 부활을 희망하고 있습니다. 특히 코로나19 시기를 거치며 졸업식이나 수학여행 같은 중요한 추억을 놓친 세대에게는 더 큰 아쉬움이 남습니다. “또 무산됐다”는 자조 섞인 목소리가 나오고 있는 이유입니다.
📜 제도는 움직이지만, 불안은 여전
국회는 지난해 법 개정을 통해 6월 21일부터 학교장이 안전 조치를 다한 경우 민·형사 책임을 지지 않는다는 규정을 마련했지만, 현장에서는 여전히 “불안하다”는 반응이 우세합니다. 보조 인력 지원 조항도 있지만 행정적 현실과 실행력의 문제는 남아 있습니다.

🎒 학교 밖 수업, 계속되어야 할까?
안전과 책임 사이에서 체험학습은 큰 기로에 섰습니다. 교사들도 교육적 효과를 살릴 대안을 고민 중입니다. 단순한 현장학습을 넘어서, 안전하고 지속가능한 방법으로 아이들에게 살아있는 교육을 전달할 방법이 필요해졌습니다.
'반짝반짝 빛나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말 뭐보지? 떠오르는 ott 대환장기안장 (0) | 2025.04.11 |
---|---|
아니, 여기 한국 아닌가요? 할리우드 쿨함 뺨치는 기이한 최여진의 결혼 행보 (1) | 2025.04.08 |
무정부, 각자도생의 시대. 한덕수 권한대행, 드디어 헌법재판관 임명…그러나 논란은 계속 (0) | 2025.04.08 |
JTBC의 산증인, 강지영 아나운서, 14년 만의 퇴사 (0) | 2025.04.08 |
역시나 연예인 걱정은 뭐다? 지금도 나보다 잘먹고 잘살고있는 정우성 중국진출현황 (1) | 2025.04.04 |